① 통신사 동향: SKT, KT, LGU+, Oi, RCS, ISIS
2주에 한번 뉴스레터/Vol.01 2012.11.19 2012.11.18 12:41 |유엔젤 사업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통신사 동향을 알아봅니다. 국내 3사 외 알뜰폰 사업자(MVNO), 해외 유수 통신사의 소식까지 다룰 예정입니다.
국내 통신사
LG U+, 구글과 손잡고 U+tv G 서비스 출시
ZDNet Korea 2012.10.16 LG유플러스 'IPTV+구글TV' 세계 첫 출시 외
U+TV G 주요 서비스
- 방송 서비스 : 실시간 방송, VOD (U+ IPTV), 유투브
- 세컨드 TV : 스마트폰과 STB이 WiFi로 연동하여 TV와 다른 채널 시청 가능
- 폰 to TV : 스마트폰에서 시청 중이던 동영상/사진을 간단한 조작으로 TV에서 바로 시청 가능
- 안드로이드 앱 : 구글 플레이에 접속하여 바로 다운로드
- 웹 검색 및 인터넷 브라우징
- 안드로이드 STB : CPU : 1.2GHz OS : 듀얼코어, 안드로이드 아이스크림 (제조사 미확인)
- 쿼티 자판 겸 리모콘
- 요금제 : IPTV 서비스 요금 + tv G 요금 (월 최소 9,900원/3년 약정 ~ 14,900원/무약정)
- 현재까지는 애플 단말기기(아이패드, 아이폰, 맥, 2/3세대 애플 TV)에서만 시청 가능
- 하지만, 아이폰5, 뉴 아이패드에서 HD급 스트리밍 영상 기술 제공, 애플 기기간 스트리밍 연동이 가능한 AirPlay 기술 등은 애플에서 차근차근하게 차세대 애플 TV를 준비하고 있음을 시사
[아이뉴스] 삼성 스마트 TV와 U+tv G 체험기 비교 기사
“삼성 스마트TV가 '윈도 스마트폰 초기모델'이라면, ‘구글TV'는 '첫 안드로이드폰' 같다."
국내 이동통신사 LTE 기반 고품질 음성 서비스 제공
아시아경제, 2012.10.30 SK텔레콤, 통화연결음도 HD급 음질로 업그레이드 외
- SK텔레콤 : LTE 기반 음성통화 서비스인 “HD 보이스 1” 사용자에게 HD급 통화연결음 서비스 제공 발표
- KT: “LTE워프 어드밴스드” 전략 기반으로 고품질 음성 서비스인 “HD 보이스” 품질 강화( MC기술 강화, Carrier Aggregation 기술 도입, 초소형 펨토셀 기지국 구축 확대 등)
-
LG U+: VoLTE 서비스인 “지음”은 최신 고음질 음성코덱인 AMR-WB(Adaptive Multi Rate Wideband)를 활용해 50∼7000Hz의 폭넓은 가청 대역을 모두 이용하므로, 원음에 가까운 HD급 통화를 구현했다. 또한 통화연결 시간도 0.25∼2.5초로 기존보다 최대 20배 이상 빨라졌다고 홍보
[디지털 타임즈] SKT, KT ‘3G 고품질통화’ 지원
[IT Daily] SKT, HD영상통화 2년만에 폐지
[아이뉴스24] '보이스톡'에 덴 SKT 자회사가 'mVoIP'을?
이동통신사, LTE 기반 사업전략 발표
디지털타임즈, 2012.11.05 앞선 LTE 인프라…`탈통신ㆍ융합`으로 제2도약 외
- 멀티캐리어(MC) 기술 기반의 LTE 망 구축 확산
- 2013년 3분기, 2개 주파수 대역을 하나의 광대역처럼 묶어서 운영하는 Carrier Aggregation 제공 (기존 방식 대비 두 배 빠른 최대 150Mbps 지원)
- 쿼드 안테나(Quad Antenna) 기술 도입 : 기지국 송신부를 기존 2개에서 4개로 늘려 기지국간 간섭을 줄이는 동시에 하나의 무선 자원으로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동시에 데이터 전송 가능
- 초소형 기지국인 “원칩 LTE 펨토셀” 연말까지 구축 완료
LG U+ : LTE 인프라 기반, “탈통신, 융합” 전략 발표
- VoLTE로 음성, 영상, 데이터 융합
- All IP Network인 FAST 고도화 4
- 클라우드 기반 N스크린 서비스는 전통적 방송사업이 아닌 미디어 플랫폼 구축을 통해 차별화. HD영상을 비롯해 음악, 게임 등 각종 엔터테인먼트를 OS(운영체계), 디바이스, 콘텐츠 종류 및 획득 경로에 상관없이 클라우드 서비스인 유플러스 박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N스크린으로 제공
- M2M 서비스 : M2M 플랫폼을 구축해 중소형 상공인 대상의 매장관리 및 지역마케팅 솔루션, 영상감시 솔루션, 차량 탑재형 솔루션 등의 분야에 제공
- 콘텐츠 사업 : 클라우드 기반 게임(대용량의 게임이 클라우드 서버에서 동작), YBM시사, 애듀박스, SDA 교육 등과 제휴해서 개발한 실시간 스마트러닝 서비스 “LTE 원어민 회화” 출시
[디지털 타임즈] 앞선 LTE 인프라…`탈통신ㆍ융합`으로 제2도약
RCS 서비스 상용화 개시
디지털타임즈, 2012.10.30 차세대 멀티메신저 RCS 내달 상용화
-
11월 중순에 SKT, KT, LG U+간 상호 연동하는 RCS (Rich Communication Suit) 서비스 출시 계획
-
지난 2월 MWC2012에서 ‘Joyn’이란 브랜드로 시연
-
10월 31일에는 미국 Metro PCS가 상용 RCS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출시. 동 서비스는 삼성 `갤럭시 어테인(Attain)' 4G 스마트폰에서 전용 App을 설치하여 이용
해외 이통사
미국 이동통신사 연합 모바일 서비스 ISIS, 시범 서비스 개시
아이뉴스24, 2012.10.18 美 아이시스, 22일 모바일 결제 서비스 런칭 외
- 10월 22일 미국 모바일결제연합체인 ISIS 시험 서비스를 솔트 레이크 시티, 오스틴에서 런칭
- ISIS는 휴대폰에 NFC 기반의 통신 기술과 ‘디지털 지갑(Digital Wallet)’ 소프트웨어를 탑재, 신용 및 직불카드 계정 정보를 저장하여 모바일 결제를 지원하는 서비스로, 로열티 프로그램, 할인 쿠폰 등 부가 서비스도 제공
- 지원 신용카드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, 캐피털원, 체스 프리덤 카드
- 년말까지 ISIS 지원하는 20 여종 단말기 출시 목표
경쟁사(신용카드사) 동향
- 비자카드는 PNC 은행(PNC Financial Services Group)을 통해 미국 내 자사 최초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‘V me 디지털 지갑’에 고객 계좌를 연동
- 마스터카드는 5월 비자카드와 유사한 서비스를 발표했으며,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역시 이베이의 페이팔(Paypal)에 대항, ‘서브(Serve)’ 제공
- 디스커버는 8월 이후 700만 개 이상의 매장에서 페이팔을 지원
- 참고로 미국 Metro PCS는 삼성 갤럭시 S3 단말기에 구글의 모바일결제서비스인 “Google Wallet” 탑재
브라질 Oi, 2000여개 도시에 브로드밴드 구축 완료
- 2012년 10월 기준, 브라질 최대 브로드밴드사업자 Oi는 국가 브로드밴드 계획 Plano Nacional de Banda Larga(PNBL)의 일환으로 브라질 2,005개 지역에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구축 완료
- Velox(Oi 브로드밴드 서비스 브랜드) 서비스 가격은1개월 기준 35리알(17.2 달러)이며, 속도는 1Mbps
- PNBL은 브라질 정부가 자국의 브로드밴드 보급률 및 경쟁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 2010년 3월 개시한 계획이며, 2010년 초 기준 1,100만의 브로드밴드 보급가구수를 2014년까지4,000만까지 늘려, 총 72%의 보급률 달성을 목표로 삼고있음- Oi는 PNBL의 일환으로 2014년 말까지 113개 도시에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, 4,800개 이상의 지역에 커버리지를 제공 예정
- 참고로 브라질 케이블 및 지상파 유료TV 서비스제공업체인 Globosat의 VOD 서비스 ‘Muu’의 가입자 수가 400만 명 돌파
- “HD 보이스”는 SK텔레콤의 VoLTE 브랜드. LG U+는 “지음”, KT는 VoLTE로 명칭. SKT와 LG U+는 8월에, KT는 10월 VoLTE 상용 서비스를 출시했으나 VoLTE 요금제에 대해 방통위와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시범 서비스만 제공할 뿐 상용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. (이통사들은 VoLTE도 기존 3G 요금제와 동일한 요금 체제를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방통위는 패킷망을 이용한 서비스인 만큼 3G보다 저렴한 요금제를 도입 요구) [본문으로]
- “Wideband Audio” 기술은 3GPP가 제정한 `AMR-WB' 표준 음성통화규격을 3G에 적용한 기술로, 기존 음성통화에 비해 음성 대역폭이 2.2배 넓어 더 깨끗한 음성통화가 가능하다. 이 기술은 국내 이동통신3사가 이미 상용화한 VoLTE에도 이미 적용,`HD보이스' 서비스로 제공 중 [본문으로]
- QCI(QoS Class Identifier)는 3GPP TS23.320에서 정의한 LTE/IMS망에서 VoIP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표준기술로, 서비스별로 QoS 우선순위를 1~9 단계로 지정하고 있음 [본문으로]
- FAST는 First All-IP Seamless Total network의 약자로, LG U+의 LTE망과 WiFi망(U+ Zone) 등 LG U+의 유무선 인프라를 결합한 All-IP 네트워크 브랜드 [본문으로]
'2주에 한번 뉴스레터 > Vol.01 2012.11.19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① 통신사 동향: SKT, KT, LGU+, Oi, RCS, ISIS (0) | 2012.11.18 |
---|---|
② ICT 동향: 가트너 2013 키워드, 삼성 젤리빈 적용, 브라질VOD서비스 붐 (0) | 2012.11.15 |
③ 동종업체 동향: 네이블, Comverse, Huawei (0) | 2012.11.14 |
④ 표준화 동향: RCS통합커뮤니케이션, WebRTC (0) | 2012.11.13 |
⑤-1 회사소식: 아이들을 위한 컨텐츠만 모아모아, 토모키즈 (0) | 2012.11.12 |
⑤-2 회사소식: 공격탑쌓기, 이제 카카오톡 플랫폼에서 친구랑 즐기자 (0) | 2012.11.11 |
댓글을 달아 주세요